전체 글

전체 글

    [통계] 귀무가설과 대립가설

    1. 들어가기전에 통계를 공부하다보면 p-value, 검정력, 1종 오류, 2종 오류 등등 어려운 단어가 너무 많이 나온다. 이들을 알아보기전에, 기본이 되는 귀무가설과 대립가설을 알 필요가 있다. 2. 정의 2-1. 귀무가설 귀무 가설은 영어로 null hypothesis라고 하는데, 처음부터 버릴 것을 예상하는 가설이다. 따라서 새로울 게 없다는 뜻으로 기존에 존재하는 가설이다. 2-2. 대립가설 귀무 가설에 대립되는 가설로 연구자가 입증되기를 주장하는 가설이다. 3. 의미 일반적으로 참이 아님을 증명하는 것이 참임을 증명하는 것보다 쉽다. 그렇기 때문에 귀무가설이 아님을 증명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고 생각하면 되겠다. 따라서 정리하면, 연구자는 대립 가설을 세우고 실험을 통해 대립 가설을 입증하고자 ..

    [프로젝트] numpy, pandas로 신경망 구현하여 프로야구 순위 예측하기

    [프로젝트] numpy, pandas로 신경망 구현하여 프로야구 순위 예측하기

    1. 들어가기전에 내 코딩실력에 환멸을 느껴서, 가벼운 프로젝트부터 진행하고자 했다. 우선 해당 글을 참고하여 신경망을 스크래치로 구현하기로 마음먹었다. 그렇다면, 좀 더 흥미로운 주제를 하면 재밌을것 같아서 스탯티즈를 참고하여 각팀의 타율, 출루율, 장타율, 방어율, FIP, WHIP를 활용하여 프로야구 순위를 예측하는 프로그램을 만들기로 했다. 2. 뉴럴 네트워크 구성 위와 같이 뉴럴 네트워크를 구성하였다. 인풋 레이어와 히든 레이어 2개를 거치고 softmax 연산을 통해 최종 확률을 계산하게 된다. loss function은 cross entrophy를 사용하였고, activation function은 sigmoid를 사용하였다. 3. 코드 살펴보기 3가지 파일로 구성된다. main.py: 메인 ..

    [IT 도서 리뷰] 읽기 좋은 코드가 좋은 코드다 (Part. 2)

    Part 2. 루프와 논리를 단순화하기 루프는 중요하다. 언어를 배울 때 생각하면 if, for, while 문 등을 제일 처음에 배우지 않는가. 이들이 모여 루프가 되고 논리가 된다. 코드는 수많은 루프와 논리로 이루어져 있고 이것만 단순화해도 좋은 코드가 될 것임이 자명하며 해당파트에서는 이 부분을 다뤘다. 7. 읽기 쉽게 흐름제어 만들기 part 1에서 일관성이 중요하다고 했었다. 읽기 쉽기 위해서 여기서도 적용된다. 그에 대한 예시는 다음과 같다. # 왼쪽이 검사를 수행하는 대상 / 오른편은 비교대상 (고정값) while (bytes_received < bytes_expected): ''' ''' if와 else에 대한 순서도 주목할 수 있다. if에 어떤 조건을 넣느냐에 따라 읽기 쉬운 코드가 ..